주식 헤지(hedge) 전략 -리스크 관리-
안녕하세요, junymoney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주식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전략인 헤지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헤지(hedge)는 울타리라는 영어단어로 보통 울타리는 무언가로부터 본인의 영역을 지키기 위해 설치하게 됩니다.
이처럼 주식투자에 있어 헤지 전략은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 또는 막기 위한 전략입니다.
주식시장에서 헤지(hedge)란 금전 손실을 막기 위한 대비책 또는 손실을 최소화시키는 방편입니다.
리스크 헤지로 구성된 주식 포트폴리오는 손실을 막거나 줄여주는 안정적인 전략이기도 합니다.
리스크 헤지용 포트폴리오의 기본은 '반대로' 움직이는 종목을 같이 매수하는 거입니다.
예를 들어 흑/백처럼 서로 반대되는 섹터의 종목들로 구성합니다.
1) 환율이 오르면 수혜를 받는 주식 & 환율이 떨어지면 수혜를 받는 주식
2) 유가가 오르면 수혜를 받는 주식 & 유가가 떨어지면 수혜를 받는 주식
3) 남북관계가 좋으면 수혜를 받는 주식 & 남북관계가 긴장감이 생기거나 안 좋을 때 수혜를 받는 수기
이렇게 한쪽에서 '수익' 을 볼 때 다른 한 쪽에서 '손실'을 보게 되면 수익 본 종목을 팔아서 손실 종목을 추매로 평단을 낮추고, 손식 폭이 줄었을 때 손절 또는 보합에서 매도해서 결론적으로 손실을 줄이거나 수익을 보는 개념입니다.
리스크 헤지용 포트폴리오의 구성은 평균 수익률에 포커스를 맞춘 투자 방식입니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같은 섹터군의 종목을 너무 많이 담게 되면 해당 섹터 종목이 안 좋게 되면 본인 주식 계좌가 손실이 클 수 있습니다.
이에 헤지 전략을 사용하여 손실을 줄이고 평균 수익률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리스크 헤지용 포트폴리오는 큰 수익률을 보기 보다는 손실을 줄이고 약간의 수익률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수익률 자체는 다소 낮을 수 있습니다. 하나의 주식 종목의 수익금으로 손절을 다른 섹터의 종목을 손절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주식의 포트폴리오는 투자하기 전에 충분한 계획을 통해 매수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계획을 가지고 미리 해당 종목을 분석하고 투자를 한다면 수익을 볼 확률이 높습니다.
뇌동매매가 아닌 내가 이걸 왜 매수해야 하는지 그 이유만 알고 계획을 가지고 투자를 하는게 필요합니다.
주식 헤지 전략도 물론 전반적인 시장의 하락장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허나, 한 섹터 종목에 집중투자되어 있는 포트폴리오보다는 손실이 덜 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헤지 전략은 화폐 안전자산, 금을 포함한 원자재 투자 전략, 채권 투자등 다양한 포트폴리오 분배 전략이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도 유익한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발행 및 기업공개 이해하기 (IPO) (2) | 2021.09.07 |
---|---|
주식 투자 방식 (스캘핑, 단타, 스윙투자, 장기투자(가치투자) (1) | 2021.08.16 |
미국주식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확인 사이트 (tipranks.com) (0) | 2021.07.26 |
미국주식 유상증자 주식 가격이 떨어질까? 오를까? (0) | 2021.07.19 |
미국주식 종목 찾기 -Finviz 핀비즈 활용법- (1)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