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 넣는 예금은 돈이 되지 않는다
우리는 돈을 모으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은행에 예금을 넣습니다.
물론 은행에 돈을 넣는 예금은 원금 손실이 없고 이자를 주기에 돈을 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연 은행에 넣는 예금이 실제로 돈을 얼마나 버는지 계산해 보면 돈이 된다고 생각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예금을 하는데 왜 돈을 벌지 못하는가?
은행에 예금이나 적금을 하면 이자를 받지만 이자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하므로 실제 이자는 약정 이자율만큼 되지 않습니다.
은행이자에서 세금을 제하고 남는 금액의 세후 실효수익률을 따져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확정금리 연 2%로 1년 동안 1,000만원의 예금을 한다고 하면 세후 실효수익률은 얼마일까요?
1,000만원의 연 2%는 이자가 20만원입니다.
여기서 얻는 이자소득에는 이자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일반적인 이자소득에 대한 이자세율은 (14% 이자소득세 + 1.4% 지방세)가 합산되어 총 15.4%를 이자소득세로 납부해야 합니다.
이에 계산해보면 20만원의 이자소득에서 15.4%의 3만 800원이 이자소득세로 총 20만원에서 3만 800원을 제외하면 16만 9200원입니다.
16만 9200원은 1,000만원의 약 1.69%이므로 세후 실효수익률은 1.69%입니다.
여기에 물가상승에 따른 화폐 가치 하락까지 계산해봐야 합니다.
물가가 오르는 만큼 돈의 가치는 떨어집니다.
즉, 예금 기간 동안 물가가 오르면 그만큼 실질이자가 줄어들게 됩니다.
보통 은행에서 예금에 연 몇 % 이자는 물가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명목금리'입니다.
예금 기간 중 물가가 올랐다면 실질이자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이자율, 실질금리로 계산해야 합니다.
은행에서 예금이자를 2% 준다고 하고, 1년 동안 물가가 2% 올랐다고 하면 실질적인 세후 실효 수익률은 얼마인지 계산해야 합니다.
명목금리가 연 2%일 때 세후 실효수익률은 1.69%, 여기에 물가상승률 2%를 빼면 마이너스 0.31%입니다.
즉, 세후 실효수익률 기준으로 계산한 실질금리는 마이너스 0.31%입니다.
1,000만원의 마이너스 0.31%는 3만 1000원으로 예금을 하면 3만 1000원을 잃는다는 계산입니다.
이자소득세를 내지 않는 방법이 있을까?
비과세종합저축제도로 5천만원의 범위 내의 저축에서 발생하는 이자와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부여하기는 합니다.
(모든 금융기관을 통합 합산하여 5천만원 이하입니다.)
그리고 비과세종합저축제도는 만 65세 이상 거주자, 독립 유공자, 수급자, 장애인 등의 가입대상이 정해져 있기에 가입하기도 어렵습니다.
추가로, 세금우대 저축 제도로 새마을금고, 신협과 같은 조합원이나 회원으로 하는 예금에 대해서는 14% 이자소득세는 비과세로 계산하고, 1.4%의 지방세만 과세합니다.
이에 예금을 들고자 한다면, 일반 시중은행보다는 새마을금고, 신협 등에서 예금을 가입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위 세금우대 저축 제도는 3천만원이 한도입니다.)
비과세종합저축제도로 이자소득세를 내지 않는 것으로 계산해도 실질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는 못합니다.
작년 2021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5%로 은행의 2%의 예금 명목금리라면 1년 동안 예금을 하면 돈을 잃게 되는 것입니다.
즉, 이자소득세를 제외하고 계산해도 1,000만원의 2%가 명목금리, 물가상승률이 2%라면 돈을 벌지 못하는 예금이 되게 됩니다.
최근 은행에 금리가 높아지면서 물가상승률보다 이자가 높은 예금, 적금이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은행에서 주는 이자는 명목금리이기에 실질적으로 얼마의 이자를 받게 되는지 세후 실효 수익률을 계산해서 물가상승률보다 높은 금리인지 계산할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은행에 넣는 예금은 리스크가 없는 투자로 안전자산이기에 돈을 모으는 데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1년 뒤에 이자가 우리가 원하는만큼의 이자인지는 계산해 볼 필요가 있기에 이번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
저도 주식에 모든 돈을 투자하기 보다는, 새마을금고에 예금을 넣고 안전자산의 현금을 넣어놨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내가 갖고 있는 예금 금리가 얼마나 되는지 세후 실효 수익률을 계산해보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테크 달러투자 필수 달러리치 활용하기 (1) | 2022.02.02 |
---|---|
환테크 달러투자 방법 (1) | 2022.01.16 |
공모펀드 vs 사모펀드 차이점,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0) | 2021.10.28 |
그린카드 에코머니 포인트 현금화로 재테크하기 (0) | 2021.10.22 |
예적금 비과세 통장 혜택 좋은점 (이자소득세 면제) (0) | 2021.10.01 |